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베트남- 다낭-참박물관①
    Abroad/EastAsia 2018. 8. 5. 15:23

    베트남- 다낭-참박물관

    (Vietnam-DaNang-Cham Museum)

    201x.  Mid-March.


    1

    ◑ Chm01   용다리(Dragon Bridge)    (Nex-F3)



    2

    ◑ Chm02.  박물관 심볼 Lion    (Nex-F3)



    3

    ◑ Chm03.   박물관 심볼 Garuda     (Nex-F3)



    4

    ◑ Chm04.  브라마(Brahma)    (Nex-F3)



    5

    ◑ Chm05.   브라마(Brahma)탄생   (Nex-F3)



    6

    ◑ Chm06.   비시누(Vishnu)    (Nex-F3)



    7

    ◑ Chm07.  시바(Shiva)    (Nex-F3)



    8

    ◑ Chm08.  춤추는 시바 (Dancing Shiva)    (Nex-F3)



    9

    ◑ Chm09.  사라스바티(Sarasvati)    (Nex-F3)



    10

    ◑ Chm10.  락스미(Laksmi)    (Nex-F3)




    1. 참(Cham)박물관은 다낭 용다리 바로옆에 있다.. 박물관안에서 찍은 용다리 사진이다. 철재 용머리 중간에 노즐이 보이는데 밤이되면 저 노즐로 가스를 뿜어내 붙을 불여 사람들을 끌어모은다. 앞에서도 몇번 적었지만 베트남 중부는 15세기까지 참(Cham)족의 참파왕국이 지배했다. 15세기이후 서서히 베트남족에게 밀려 참족 대부분은 캄보디아로 피난갔다. 19세기초에 마지막남은 영토까지 민망왕에 정복당해 완전히 멸망한다. 참족은 인도네시아계 민족이었다고 하는데 문화는 힌두교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한다. 현재 남아있는 유적은 곳곳에 있으나 모두 폐허로 변하고 그중 미손(My Son)지역이 그나마 관광지로 명맥을 유지하나 캄보디아사원에 비하면 그냥 돌무덤에 가까워 처음부터 갈 생각이 없었다. 이 챰박물관은 식민지시절 1915년 프랑스인 고고학자의 주창으로 만든 박물관으로 2차세계대전전에 유적지에서 유물들을 가져와 보관했다. 캄보디아 시엠립의 국립박물관의 석상들이 훨씬 정교한 점은 있지만, 그곳박물관의 석상들은 온전한걸 찾기가 어려울 정도인데 비하면 이곳 석상들은 비교적 온전한 수준이다. 베트남민족 문화가 아니어서 베트남인들은 거의 모르고 있고 찾는 관광객은 외국인이 대부분이다. 예상외로 상당히 만족스런 박물관이었다. [본문으로]
    2. 힌두교에 대해 조금 설명한다. 여기선 일반적으로 오해가 많은 부분만을 거론하고 자세한 건 앙코르와트여행기에서 설명할 모양이다. 힌두교에선 별격의 3신이 있다. 브라마(Brahma) 일명 창조자(The Creator), 비시누(Visnu)일명 세계의 보호자 (The Protector),그리고 시바 (Shiva)일명 파괴자 (The Destroyer)이다. 이외에 신들이 많은데 모두 한단계 떨어지는 신들이다. 이들의 세계관은 천상(마루산위)에 8층의 세계가 존재하는데 최상층에 비시누가 살고 나머지 7층에 다른 천상신의 세계가 존재한다. 아래엔 지상세계(지구)가 있고 그 아래에 지하세계가 7층있는데 지하1층에 아수라족(Asuras)이 살고 제일 아래 7층에 나가족(Nagas)이 산다. 나가란 흰두세계에 가장 흔히 볼수 있는 거대한 뱀들을 말한다. 가장 많이 오해하는 부분이 천상을 천국처럼 인식하고 천상신을 선한신으로 인식하며 지하를 지옥 혹은 지하신들을 악마로 인식하는 어디서 잘못배운 이분법이다. 이런 선입관을 가지면 힌두교나 불교는 이해 못한다. 힌두교에선 선악은 없다.모두 욕망을 가진 신들이다.천상세계는 황폐하고 항상 물자가 부족한 살기 힘든 곳이다.일하기 싫어하고 놀고먹기 좋아하는 천상신인 모양이다. 이에 비해 지하세계는 음식과 물자가 풍부하고 보석들로 넘쳐난다.비록 태양빛이 미치지 못하지만 보석이 워낙찬란하여 그 빛이 태양을 대신한다. 우리개념으로 보면 지하세계가 천국이다. 그런데 지하세계에 부족한게 바로 미인이다. 압살라(요정)들이 우유바다에서 탄생하자마자 천상신쪽으로 붙었다는걸 보면 천상신들이 대부분 잘생기고 지하신들이 못생긴 모양이다. 그래서 항상 배고프고 물자부족에 시달리는 천상신들이 미인계를 펼쳐 지하신들을 꼬시고 사기쳐서 음식과 보석을 빼앗고 지하신은 미인을 강탈하기위해 천상을 공격하니 이들간 전쟁이 끊이지 않는다, 어찌보면 천상신들이 사기꾼 양아치들이고 지하신들은 여자밝히는 못생긴 갑부들이다. [본문으로]
    3. 처음엔 힘에서도 뒤지던 천상신들이 국면전환을 위해 불사신으로 변하면 대등해질거라 믿고 비시누신에 도움을 요청해서 불사신이 되는 얘기가 유명한 '우유바다 휘젓기(Churning of the Ocean of milk)'신화다. 인도판 신들의 전쟁이다. 이전에는 주3신을 빼면 모두 죽음은 피할수 없었다. 결국 신들세계의 균형을 원하는 비쉬누신이 도와 천상신들은 불사약을 먹고 불사신이 되고 언제나 속는 안타까운 지하신들은 또 속아서 죽음을 피할수 없는 신으로 남게 된다.앙코르와트의 벽면부조가 이 신화를 그렸으므로 이 이야기는 앙코르와트 여행에서 거론할까 한다. 우유바다휘젓기의 천상신의 우두머리였던 인드라는 단일 존재로 영속하지만 지하신들의 우두머리였던 아수라의 왕 발리(Bali)는 곧 죽게되므로 이 얘기에서만 존재한다. 그럼 이 세계가 시바신에 의해 파괴되고 새로운 세계가 브라마신에 의해 창조되면 천상신들은 죽는가 살아남는가? 대답은 남겨두기로 한다. [본문으로]
    4. 브라마(Brahma)신은 동서남북 네방향을 볼수있는 4개의 머리를 하고 있고 5번째 머리가 달린 몽둥이를 무기로 하며 백조를 타고 다닌다.이 조각은 연화대에 앉아 잇고 손엔 연꽃봉우리를 들고 있는 걸로 보아 태어난 태의 모습으로 보인다. 연꽃은 지혜를 상징하기도 하고 4원소중 흙을 상징하기도 하는데, 연화대와 연꽃은 힌두신들에게 두루 사용되며,불교에도 그대로 전해진듯하다. [본문으로]
    5. 아래부분은 비시누(Vishnu)가 머리 7개인 뱀 나가(Nagas)를 베고 누워 명상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비시뉴가 깨어나면 배꼽에서 연꽃이 피어나 그곳에서 브라마가 태어나 세상을 창조한다. 아마 비시누파의 푸루나(힌두경전)얘기인 모양이다. [본문으로]
    6. 비시누(Vishnu)가 13개의 뱀 나가(Nagas)를 깔고 앉아 있다. 나가의 머리들이 방사형 배경을 만들고 있다. 비시누가 네손에 들고 있는건 네개의 원소,즉 공기,불,물,흙을 뜻하는 물건들로 각기 소라껍질,바퀴(차크라),곤봉(Mace),보석이다. 보석대신 연꽃인 경우도 있다 [본문으로]
    7. 시바(Shiva)신은 왼손에 삼지창을 들고 오른손엔 칼을 들고 잇다. 칼대신 도끼를 드는 경우도 많다.삼지창은 시바신의 상징으로 번개를 내린다는둥,과거현재미래를 나타낸다는둥 창조유지파괴를 의미한다는둥 갖가지 해석이 많다. 이마의 세번째눈은 지혜를 의미하고 머리엔 초승달 모양이 있다. 힌두교의 주요신은 4개의 손을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선 뒤두손이 불꽃을 쥐고 있다. 불꽃은 파괴와 창조를 의미한다. [본문으로]
    8. 춤추는 시바는 예술을 의미한다. 시바의 파괴는 종말을 의미하는게 아니라 새로운 창조를 위한 파괴이다.시바의 원래 4손 이외에 뒤에 보이는 무수한 손은 원래는 머리카락이다. 아마 동남아로 오면서 원래의미가 변형된듯하다. 시바의 머리털은 갠지스강(여신)이다.이 머리카락이 무수히 방사선으로 뻗어나가며 끝에 불꽃을 들고 있는게 본래 모습이다. 아래가 시바신이 타고다니는 황소 난딘(Nandin)이다. 신들마다 타고다니는 영물이나 신전을 지키는 영물들이 다르므로,각종 조각에서 어떤신인지 알기위해 그 신이 타고 있는게 뭔지 먼저 살피는게 중요하다. 손에 든게 곤봉(Mace)으로 4원소중 물을 의미하며,물은 에술을 의미하므로 춤추는 시바는 이렇게 곤봉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본문으로]
    9. 사라스바티(Sarasvati)는 지혜,과학,예술,음악의 여신이다. 브라마의 아내이므로 브라마신이 타고다니는 백조 함사(Hamsa)를 타고 있다. [본문으로]
    10. 락스미(Laksmi)는 미와 행운의 여신이다. 우유바다에서 태어날때 모두 침을 삼킬정도로 힌두신중 최고로 아름다운 여신인 모양이다. 결과는 비시누의 아내가 되어버린다. 오른손엔 연꽃,왼손엔 물병을 쥐고 있다. [본문으로]

    'Abroad > EastAs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다낭-참박물관③  (0) 2018.08.05
    베트남- 다낭-참박물관②  (0) 2018.08.05
    베트남-호이안⑤  (0) 2018.07.18
    베트남-마블마운틴④  (0) 2018.07.18
    베트남-마블마운틴③  (0) 2018.07.18
Designed by Tistory.